전체글 목록 103

(항해33일차) 220407 리액트 미니프로젝트 1일차

와 드디어 미니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아는건 쥐뿔도 없는데 뭔가 만든다는 생각에 기대된다. 비록 지금 미리보기 이미지 크기에 고통받는 중이지만, 오늘은 아주 재밌는 시간을 보냈다. 팀원들과 이야기하면서 계획을 짜는 것도 재밌고, 지난주엔 안 풀렸던 것 들이 이상하게 조금 알 것 같으니 불안하면서도 좋다. 비록 지난 주에 했던 과제를 다시 한 번 하는 수준에 가깝지만 해야 할 일을 나름대로 계획해서 처리하는 와중에 문득 첫 날이 생각났다. 항해 시작하고 바로 첫 날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보드에 뭔가 이해하지 못한 내용들을 적고 깃허브가 뭐지? 계속 파이참만 썼는데 왜 VSC를 쓰는거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 적응은 안되는데 뭔가는 해야했던 그 때를 생각하면 오늘은 정말 즐거운 날이었다. 1. < 백엔..

(항해32일차) 220406 리액트 주특기 21일차

와 주특기 21일차, 마지막 날이다. 처음 야심차게 시작했던 주특기 기간이 정말 순식간에 지나갔다. 좀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뭔가 리액트에 대해 정말 빠삭하게 공부했다.' 라고 쓰기엔 너무 짧게 느껴진 3주였지만, '주특기 기간동안 정말 몰입해서 공부할 수 있었다.'라고 쓰기엔 너무 길어 지친 3주였다. 표현이 부정적일 수 밖에 없는게 당장 내일부터 시작하는 미니프로젝트에서 온전히 1인분을 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 그럼에도 처음 항해를 시작했을 때와 비교를 해보면 많은 부분이 달라지긴 했다. 리액트를 사용해봤다는 사실 자체로 조금은 자신감이 생기고 뭔가 그럴듯한 페이지를 만들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걱정이 되는 미니프로젝트이지만, 드디어 진짜 조별과제가 시작된 것 같아 기대가 되기도 한다. 지난 3주..

(항해31일차) 220406 리액트 주특기 20일차

로그인, 게시판, 사진 업로드, 댓글까지 .. 몰아치는 CRUD쓰나미에 정신 못 차리고 허우적대는 3주차이다. 나름 리덕스와 파이어베이스를 알차게 공부하고 3주차를 맞이했다는 생각은 조금씩 머리속에서 사라졌다. 기능을 하나하나 추가할 때 마다 더 복잡해지는 코드를 보면 어디부터 뜯어봐야 하나 고민이 된다. 도대체 CRUD 뭐길래 이렇게 어려운거지? 생각해보면 사실 차근차근 풀어갈 수 있다. 로그인이든, 사진이든, 게시글 내용이든 형태는 다르지만 결국 만들고, 보여주고, 수정하고, 삭제하기인데 왜 이렇게 어렵게 느껴지는 것 일까? 불과 지난주에 했던 단어장과 다를게 없는데 컴포넌트가 나눠져서 일까? - 새로 만드는 데이터: 1. 어딘가에(input, textarea 등) 작성되는 값을 state에 넣는다...

(항해99)의 4주차 (220328-220403) WIL

항해를 시작하고 가장 어려웠던 한 주가 지나갔다. 재밌게만 느껴지던 코드가 정말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고 남들은 잘 이해하는 것 같은 개념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아 힘들었다. 특히 과제로 단어장을 만들어보면서 여러 번 위기가 있었는데 결국 마지막에 가서는 잘 마무리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하지만 이런 고민들이 있어서 리액트와 좀 더 깊이 알게 된 것 같다. 중간에 한 번 코드를 통째로 갈아엎을 때는 무섭기도 했지만 그러면서 state를 어떤 방식으로 써야 하는지도, props가 왜 중요한 개념인지도 조금은 느낄 수 있었다. 코드가 눈에 들어오지 않아 손으로 쓰면서 분석해보기도 했는데 화면으로 다른 사람 코드를 읽는 연습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리덕스에 파이어베이스까지 사용하다보니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

promise와 then / async와 await

자바스크립트의 함수 실행 - 위에서 아래로 읽어내려오면서 코드를 실행한다. - 선언된 함수가 아닌 호출된 함수를 실행한다. - 싱글스레드 언어로 작업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실행한다. - 하지만 웹API에 비동기작업을 위임하고 동시에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비동기작업의 처리 과정: ① 콜스택(실행할 함수가 쌓이는 곳)에 콜이 쌓인다. ② 비동기작업은 웹API로 위임한다. (웹API는? : Ajax, setTimeout(), Dom등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API) ③ 웹API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콜백큐에 결과(콜백함수)를 전달 ④ 콜백큐에서는 콜스택으로 다시 함수를 보내고, 콜스택에서 함수가 처리된다. 비동기 작업이 중첩되는 경우 관리가 힘들어지고 이를 콜백헬이라고 부른다. promise는 비동기작업의..

Today I Learned 2022.04.03

(항해27일차) 220401 리액트 주특기 15일차

달이 바뀌었다! 동시에 항해에서의 마지막 주특기 주차도 시작됐다. 어제까지의 뿌듯함을 비웃기라도 하듯 새로 받은 강의와 과제는 엄청났다. 한 편으로는 걱정하면서도 이번 주차를 보내면 비로소 로그인 기능이 있는, 있을게 다 있는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 기대된다. 강의는 시작부터 만만치 않았다. 분명 공부하면서 어디선가 봤거나, TIL에 까지 썼던 내용들인데 또 새로운 내용들이 많다. 오늘 가장 열심히 공부한 부분은 폴더구조이다. 지난번 파이어베이스를 쓰면서 잘 정리된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실감해 더 집중해서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얼마나 잘 정리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최대한 신경써야겠다. 또 한가지 목표는 컴포넌트를 잘 구성해보는 것이다. 1. 위에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