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3

서버 (Flask프레임워크)

웹페이지: HTML, CSS, JavaScript로 만든다. 서버: 1. 만들어둔 파일(HTML, CSS, JavaScript)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 2. 클라이언트에서 입력한 새로 저장할 데이터를 가져옴 3.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 DB: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보관하고 요청한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 (은행) API: 필요한 데이터가 담긴 곳,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하는 주소(은행의 창구번호) 서버를 구동시킬 수 있는 코드의 모음 서버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복잡한 것들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든 프레임워크 - flask를 이용해 서버를 만들 때 항상 해야할 것: 프로젝트 폴더에 - static폴더 : 서버에 담을 css파일, 이미지 - templates폴더/~.html ..

Today I Learned 2022.02.23

크롤링(스크래핑)과 MongoDB

크롤링(스크래핑)은 웹페이지의 여러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만 가져오는 것 requests는 url을 넣어 데이터를 가져오는 라이브러리이다. - 자바스크립트 때 배운 Ajax같은 느낌이다. 사용법 또한 비슷하다. json형식의 경우 원하는 데이터를 찾기 쉽지만(리스트형식이라) 보통의 웹페이지는 json형식이 아닌 html이다. 그래서 BeautifulSoup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쓴다. BeautifulSoup은 가져온 html 더미를 텍스트 형태로 저장한다. BeautifulSoup의 개념이 이해가 안돼서 시간이 오래걸렸다. 이해한 내용대로 정리를 해보자면, .select()는 HTML더미에서 내가 찾는 부분을 찾아주는 코드이다. () 안에는 copy selector나 속성값을 넣어준다. (copy sel..

Today I Learned 2022.02.18

처음 배우는 Python

파이썬은 직관적인 언어이다. (딱 봐도 간결해 보이고, 잘 읽히는 느낌이다) 괄호가 많이 쓰이지 않아 들여쓰기가 중요하다. (한 번 들여쓰기해서 하위코드?라고 표시함) 기본적인 규칙은 자바스크립트와 비슷해 보인다. [] 는 리스트, {} 는 딕셔너리 - 반복문 for 단수 in 복수 형태가 많다. 왜? 잘 모르지만 직관적으로 알아듣기 쉬운듯 하다. 예) for fruit in fruits: fruits의 fruit을 반복해줘

Today I Learned 2022.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