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TIL/(항해99)실전프로젝트

(항해56일차) 220430 리액트 실전프로젝트 9일차

리꾸엘메 2022. 5. 1. 03:14

오늘로 실전프로젝트가 시작된지 일주일이 지났다.

TIL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일주일동안 진행된 기획회의는 엄청나게 많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부족해 보인다. 

그래도 우리팀이 아직 의욕이 많다는 점과 핵심 기능은 바뀌지 않고 계속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는 점은 다행이다.

오늘 예약 기능과 관련된 api나 디테일한 설정을 정하면서 드디어 전체적인 기획안이 확정된 듯 하다.

(물론 내일 디자이너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면 또 변하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오늘 카카오 소셜로그인 기능을 구현해 봤다. 

관련 공식문서를 읽어보면서 REST api라는 개념이 계속 등장해 찾아보니 api의 형태를 정하는 일종의 규칙이나 약속이었다. 변수명을 정할 때 작성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쉽도록 정하는 것 처럼 api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분에도 의미를 알기 쉽도록 명칭을 정하는 방법이다. 

 

get/oauth/authorize?client_id=${REST_API_KEY}&redirect_uri=${REDIRECT_URI}&response_type=code

 

카카오 소셜로그인 공식문서에서 설명하는 인가코드 발급에 관련된 api이다. get요청을 위한 api로 client_id, redirect_uri 가 인증을 위해 사용되며 code가 리스폰된다는 것 또한 마지막에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름을 보고 어떤 작업이 진행될지 유추할 수 있도록 api를 명시하는 것을 rest api라고 한다. 

카카오에서 정해준 대로 api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가 직접 rest api를 만든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생각해볼 수 있겠다. 

아직 서버와 연결이 되지 않아 소셜로그인의 완성은 내일로 미뤄졌다. 카카오 다음은 구글도 도전하려 한다. 

 

내일은 해야 할 일이 조금 많다.

1. 구글 소셜 로그인 구현해보기 

2. 로그인 기능 관련 서버와 연결하기 

3. 카카오, 구글 로그인(가능하다면) 서버와 연결하기

4. 회원가입, 로그인 시 유효성 검사 후 서버와 통신하기 

5. 뷰 관련 회의로 기획 끝내기

다 할 수 있을까? 다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