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 Learned

증감연산자와 대입연산자

리꾸엘메 2022. 3. 12. 01:07

1. 증감연산자(++,--):  

 

" 피연산자를 증가(1을 더함)하고 값을 반환합니다. "

 

자기 자신의 값을 증가(감소)시키는 연산자이다. 연산자의 위치가 중요하다. 

항상 1을 더한다는 사실도 기억해야 한다.


let x = 3
const y = ++x
일 때 x = 4, y = 4

++가 앞에 위치할 때는 y는 증가한 값을 받고( y + x ), 
피연산자도 증가한다. 


let x = 3
const y = x++
일 때 x = 4, y = 3

++가 뒤에 위치할 때는 y는 피연산자의 값만 받고(y = x ),
피연산자만 1을 더한다.


2. 대입(할당)연산자: 


선언(값을 변수에 할당) 할 때 쓰인 = 도 대입연산자의 일종이다. 
즉, 대입연산자는 ~이다 라는 선언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a = b : a 는 b이다 / a+=b : a 는 a+b 이다. / a-=b : a 는 a - b 이다.


let a = 2
const b= 3 일 때

console.log(a+=b) 는 되지만  console.log(2+=3) 은 안되는 이유는? 

a는 값이 변화할 수 있는 변수지만 숫자2는 더할 수는 있어도 2라는 숫자가 5로 변할 수는 없기 때문인 것 같다. 
let a = 2 를 const a = 2 라고 바꿨을 때 에러가 나는 것과 같은 이유 인듯 하다. 

 


* 처음 알게 된 사실: console.log() 에서 ()안에 찍은 코드도 이후 결과에 반영이 된다. 
console.log(a+=b) 를 하면 a는 이후부터는 a+b 가 된다. 더 찾아봐야겠다.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액트의 가상돔, component, class  (0) 2022.03.20
반복에 사용하는 함수 ( while/do~while/for/array.foreach() )  (0) 2022.03.16
템플릿리터럴  (0) 2022.03.12
inline 과 block  (0) 2022.03.08
margin,padding / display:  (0) 2022.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