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깨달음
JavaScript 관련
let a = 'text'
이제부터 text를 a라고 부르겠다는 뜻: 선언
a 는 변수라고 한다. 변수는 컴퓨터와 서로 약속했기 때문에 ''를 써주지 않아도 되지만
'text' 엔 반드시 ''가 필요하다.
단어나 숫자 같은 짧은 데이터(?)외에도 list/dict형 변수 등이 들어갈 수 있다.
(뭐든 넣고 짧게 줄이는 용도인 것 같다.)
let a_list['사과','배','딸기','수박']
list형 변수는 안에 몇 개의 데이터(?)가 담겨 있다.
0부터 세기 시작하며 갯수를 length라고 한다.
let a_dict = {'name':'bob','age':27}
dict형 변수는 {key:value}의 구조로 key값을 물어보면 value로 대답한다.
여러 형태의 변수들을 굉장히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해 코딩에 써먹는다.
(let a_list['사과','배','딸기','수박',a_dict] 같이 섞어서 쓴다.)
복잡하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모두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아직까지는).
[],{}를 신경써서 보도록 하자.
function(q1) {~}
q1의 동작이 일어날 경우 {~} 하겠다는 함수이다. (인과관계?)
조건문(if, else), 반복문(for)와 합쳐져서 여러 조건의 함수를 만들 수 있다.
오늘은 <웹개발종합반 강의 2주차 Java Script>를 공부했다.
컴퓨터의 언어를 처음 배우려니 모르는 것도 정말 많고
매일매일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게 되지만 절반 정도는 까먹는 것 같다.
생각날 때 적어놔야 겨우 TIL에라도 적으며 복습하게 된다.
아주 피곤한 하루였지만 컴퓨터와 조금은 말이 통하는 것 같아서 기분은 좋았다.
* 마지막에 ; 붙이는 것을 계속 놓치는데 주의해야겠다.
* 괄호(특히 중괄호)를 빼먹거나 추가한다. 괄호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한 쌍이 표시되니 잘 봐야한다.
* 복잡한 식이라도 (style, script, body로 나눠서) 구조를 먼저 파악하면서 보니 눈에 조금 들어온다.
어느 코드가 어떤 부분에 해당하는 것 인지 파악하는 연습을 해야겠다.
* 순서에 따라 (시간 흐름에 따라) 차례대로 코드를 입력하면 결과가 나온다.
순서를 잘 정해서 코딩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